좋은 하루를 보내고 계신가요?
오늘은 제가 오래전부터 좋아하고
관심을 가졌었던
플라스틱등의 재질의 심지를
펜에 끼워서 높은 온도로 출력합니다.
심지는 출력 후 외부온도에 의해 굳어집니다.
아직도 생소하게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것 같아요.
"3D펜? 그게 모지?
어떻게 펜이 3D로 나오지?"
지주리도 이 궁금증으로 시작해서
구입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3두들러의 1세대 3D펜과
요즘 출시되고 있는 고급형 3D펜을
생일선물로 쫄라서 받았었습니다.
요즘 초등학생들도 많이 갖고 싶어한대요.
갖고 싶어서 계속 생각이 나는데
제것으로 만들어야지 어떡해요! 캬캬
3펜의 종류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형 : 예전 버전이 일반형인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가격이 비쌌습니다..)
고급형 : 요즘 출시되는 3D펜. 조작이 섬세합니다.
저온형 : 뜨겁지 않아서 아이들이 사용하기에 좋습니다.
(요즘 출시되는 3D펜은 가격도 저렴합니다.)
기능들은 비슷하지만
판매하는 업체마다 디자인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3D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샤프 두께에 맞는 샤프심을 사용하둣이
각각의 3D펜에 맞게 심지를 사용해야 하고
심지의 종류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많이 쓰이는 재료들을 알아봅니다.
심지를 필라멘트라고 합니다.
가위로도 잘 잘립니다.
ABS
PLA
HIPS (ABS와 PLA의 중간 강도)
Flexible
PA (NYLON)
WOOD
Steel
등등
ABS 출력온도 : 220 - 260°C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소재. 후가공에 최적화.
프라모델이나 피규어 후가동에 적합.
아세톤도 사용가능.
단점은 출력시 냄새가 심하며 수축현상이 심함.
PLA 출력온도 : 205 - 225°C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 소재.
가정용/ 학교에서도 흔히 쓰임.
옥수수전분이 주 원료로 냄새가 적으며 수축형상도 적음.
단점은 온도/습도의 영향을 많이 받음.
후가공이 어려움.
HIPS 출력온도 : 220 - 260°C
(ABS와 PLA의 중간 강도)
광택과 투명성. 서포터용.
신축성이 좋음. 기포발생이 적음.
단점은 습기에 약하고 냄새가 심함.
Flexible 출력온도 : 210 - 230°C
(ABS와 PLA의 장점을 합침)
고무의 탄성을 가진 플라스틱.
유연성과 탄성이 높음.
높은 충격흡수.
PA (NYLON) 출력온도 : 240 - 260°C
투명도가 높음.
높은 변형의 온도와 열에 안전함.
강도가 우수함.
WOOD 출력온도 : 190 - 220°C
나무의 질감의 출력물.
냄새가 적음.
출력이 부드러움. 기포없음.
Steel 출력온도 : 200 - 220°C
메탈 성분 함유.
금속느낌을 줌. 무게감 있음.
출력 후 자석에도 붙음.
냄새도 스틸냄새가 남.
이외에
재질에 따라 종류가 세분화되며
필라멘트의 두께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요즘 고급형3D펜에는
오른쪽 돌돌 말려있는 1.75mm용을 씁니다.
저는
3두들러에서 1세대로 나온 일반형과
사나고님사이트에서 구입한
고급형을 사용해보았습니다.
고급형은 여러 사이트에서 판매합니다.
펜의 두께에서부터
유물의 느낌과
신물의 느낌이 확실히 구분되죠^^
1세대는 하다보면 손가락에 쥐가 나요.....
두가지 펜의 차이점입니다.
3두들러의 1세대
출력속도조절 : 불가능
온도조절 : 세부조절불가. PLA와 ABS 중 선택 사용
두께 : 두꺼움
고급형
출력속도조절 : 롤링버튼으로 섬세하게 조절 가능
(출력버튼 두번 클릭시 자동출력 가능)
온도조절 : + - 버튼으로 1°C씩 조절 가능
두께 : 일반 펜보다 살짝 두꺼움
요즘 두들러에선 1세대는 안나오기 때문에
고급형에 대해서만 리뷰하겠습니다.
중국에서 만듭니다.
온도범위 : 130 - 230°C
사용필라멘트 : 1.75
출력 : 10W
사용전원 : 5V 2A
아마도
판매하는 고급형 모두 그러지 않을까 합니다.
구성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설명서. 3D펜. 전원선. 그리고 저 조그만 막대기.
저 막대기는 도대체 무엇인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을거 같아요.
한참을 찾아봤던 기억이 납니다.
정말 별거 아니었어요.
3D펜 뚜껑을 분리할때 사용하는겁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1. 사용할 필라멘트 종류 결정
2. 3D펜 전원선 연결
3. 필라멘트에 맞게 온도 조절
4. 예열이 완료되면 필라멘트 삽입
5. 출력속도를 조절하고 출력버튼을 눌러서 사용
힘이 없어보이는 3D펜에 전원선을 연결합니다.
3D펜 전원을 끌때는 전원선을 그냥 빼면 됩니다.
TIP. 전원선을 분리하기전 노즐을 닦으세요.전원선을 분리하면 온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노즐에 묻은 필라멘트가 닦이지 않습니다.
그러면 위 화면과 같이
필라멘트의 종류와
현재 팬의 설정온도와 현재 온도가 표시됩니다.
사나고 3D펜 설정온도를
190°C 이하로 설정하면 PLA로 바뀌며
190°C 이상으로 설정하면 ABS로 바뀝니다.
이렇게 설정한 온도까지 올라가면
출력이 가능해집니다.
- 버튼과 +버튼으로 온도를 조절합니다.
TIP. 일정시간 사용을 안하면 온도가 자동으로 떨어집니다.
출력 버튼을 한번 클릭하면 설정 온도로 올라갑니다.
온도가 모두 올라가면
사용할 필라멘트를 3D펜의 끝부분에 삽입을 합니다.
수동으로 필라멘트를 삽입하면
어느순간 딱! 걸립니다.
그때 속도조절버튼과 출력버튼을 이용해서 사용합니다.
전진 버튼은 필라멘트를 출력할때 사용하며
후진 버튼을 필라멘트를 분리할때 사용합니다.
빠르게 두번 누르면 자동출력/ 자동분리 됩니다.
분리할때는
어느정도 기계의 힘으로 빠지다가
나중에 움직이지 않으면 손으로 분리해줍니다.
출력되는 소리가 너무 귀엽습니다.
위이이잉~
영상 속 필라멘트는 플렉시블필라멘트로 꼬불꼬불 막 나옵니다.
(온도를 조금 높게 잡았어요)
지주리 글씨를 한번 써봤습니다.
망해서 바로 떼어버렸어요. ㅎㅎㅎ
3D펜의 궁금증 해결되셨나요?^^
아참!
3D펜 노즐도 노후가 되면 교체가 가능합니다.
더 궁금하신게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오늘도 기운넘치는 하루가 되시길 바래요~
지주리의
3D펜 사용법/ 3D펜필라멘트 종류에 대한
리뷰를 마치겠습니다.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지주리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
감사합니다. ♥
[고슴도치동물병원] 과잉진료 하지 않아요. 친절하고 세심한 광명메디힐동물병원 후기입니다. 제가 직접 찾아갔어요. :-) (0) | 2020.05.28 |
---|---|
[고슴도치목욕] 목욕시킬때 Tip. 신속하게 목욕시키는 방법 알아봐요! (0) | 2020.05.26 |
[힘이되는글귀] 존재만으로빛나는_태희_자꾸 잠들지 않는 밤이 늘어나는 당신에게_위로되는 좋은말 (0) | 2020.05.18 |
댓글 영역